언론 서사와 현실 사이: 레오 14세 교황 이미지의 간극
2025년 5월 8일, 가톨릭 교회의 새로운 리더가 선출되어 '레오 14세'라 불리게 되었다. 그가 미국 출신이라는 점은 가톨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어서 전 세계 언론이 이를 비중 있게 다뤘다.
레오 14세는 미국 출신인 동시에 근대 이후 첫 아우구스티노회 소속이며, 두 번째 아메리카 대륙 출신이라는 특징도 가진다. 이러한 이력은 언론이 그를 소개하는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가톨릭 관련 언론들은 대체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어조로 그의 이미지를 형성했다. 언론이 사용한 주요 프레임은 다음과 같다.
1. "역사적 첫 미국인 교황" 프레임
언론은 레오 14세가 미국 시카고 태생의 첫 리더라는 점을 가장 많이 강조했다. 가톨릭 뉴스 통신 등 여러 매체는 그의 미국 출신 배경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부각했다. 미국 주류 언론 또한 "첫 미국 출신 교황"이라는 제목으로 이 소식을 전하며 그의 국적에 주목했다. 동시에 페루 등 그와 인연이 있는 다른 국가 매체는 그를 "우리 출신 교황"으로 묘사하며 자국과의 연결성을 부각하기도 했다. 이는 새로운 리더의 등장을 교회의 세계화 및 다양성 관점에서 이야기화하는 전략으로 보인다.
한편, 그의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국적보다는 수도회 배경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었다. 일부 보도에서는 여러 나라가 그를 자국 사람으로 여기려는 분위기를 전하면서, 정작 그의 핵심 정체성은 아우구스티노 수도자라는 점을 강조했다. 즉, 특정 국가에 제한되지 않는 보편 교회의 인물이며 수도자적 영성과 국제 선교 경험이 그의 리더십을 형성했다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보도는 그의 다문화적 배경을 긍정적으로 부각하면서도, 리더직의 보편성과 영적 측면을 놓치지 않으려 했다.
2. "소탈한 인간미와 겸손한 목자" 프레임
레오 14세의 소박하고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하는 일화도 반복해서 등장했다. 그의 일상적 모습과 겸손한 성품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은 언론이 그를 친근하게 이미지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특히 화제가 된 것은 "헬스장 트레이너 일화"이다. 리더가 되기 전 바티칸 인근 헬스장에 일반인 회원으로 다니면서, 트레이너조차 그의 정체를 몰랐다는 이야기이다. 그는 헬스장에 '로버트'라는 평범한 이름으로 등록했고, 직업을 묻는 질문에 신분을 드러내지 않았다. 트레이너는 그를 회상하며 "항상 친절하고, 차분하며 균형 잡힌 분"이었다고 증언했다. 심지어 "그 나이에 믿기지 않을 만큼 체력이 탁월했고, 근육량과 골밀도, 체지방 비율이 매우 이상적"이었다는 평가도 전해졌다. 이러한 일화는 언론을 통해 널리 퍼지며 그의 겸손한 성품과 자기관리 이미지에 크게 기여했다. 언론은 이 에피소드를 통해 그를 권위적인 성직자라기보다 우리와 같은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으로 그려내는 효과를 거두었다.
이밖에도 그의 취미 생활과 소탈한 습관을 조명하는 보도가 많았다. 그가 테니스 애호가이자 운동을 즐긴다는 사실, 그리고 좋아하는 야구팀의 팬이라는 개인적 취향까지 기사화되어, 그가 스포츠를 사랑하는 친근한 신자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보도를 통해 독자들은 그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고 친근한 이미지를 갖게 된다.
한편, 재난 현장에서의 헌신을 보여주는 일화도 그의 인간미를 부각하는 데 활용되었다. 그가 페루 치클라요 교구장을 지낼 때 폭우로 인한 홍수 현장에 직접 나가 주민들과 고통을 함께 한 모습에 주목했다. 교황 선출 직후 SNS상에서 화제가 된 "진흙 장화 신은 교황" 사진이 이를 보여준다. 진흙투성이 장화를 신고 무릎까지 물에 잠긴 거리에서 침수 피해 주민들을 살피는 모습은 전 세계에 빠르게 공유되며 감동을 주었다. 현지 관계자는 "고통받는 사람들과 함께하며 그들의 현실을 이해해주는 분"이라고 평했다. "사람들과 가까이 있으면서 그들의 고통을 나누는 인간적인 목자"라는 평가처럼, 언론은 그를 민중 속에 섞여 진흙을 마다않는 사목자의 이미지로 그렸다. 이러한 서사는 이전 교황부터 강조되어 온 "냄새 나는 양의 목자"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언론 보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
이러한 언론의 이미지 구축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점도 있다.
취미 생활과 현실의 괴리
언론이 그의 소탈한 취미를 보여줬지만, 테니스나 개인 트레이닝 같은 활동은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쉽게 즐기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현실을 살아가는 가난한 이들의 삶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진흙 장화 사진의 진실성
"진흙 장화" 사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홍수가 거의 끝난 상태에서 찍힌 사진이며, 실제 재난 구호 활동보다는 언론에 좋게 보이기 위한 '보여주기식' 연출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언론이 만든 '인간적인 목자' 이미지가 실제 상황과는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언론 매체들은 새로운 가톨릭 교회 리더의 배경과 개인적 일화를 강조하며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그의 실제 생활이나 일부 행동이 언론 이미지와 다를 수 있으며, 교회가 해결해야 할 실제 문제들과는 괴리된 모습만 부각된 것은 아닌지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3. "개혁을 이어받고 소통하는 리더" 프레임
언론이 레오 14세에 대해 자주 사용한 또 다른 방식은, 그가 이전 리더인 프란치스코의 개혁적인 생각들을 이어받아 사람들과 잘 소통하는 리더라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특히 바티칸의 공식 매체나 좀 더 개방적인 성향의 가톨릭 언론에서 이런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전 리더의 정신 계승
바티칸 뉴스는 새로운 리더가 처음 사람들 앞에 나타나 "모두에게 평화가 함께하기를!"이라고 인사한 장면을 중요하게 다뤘습니다. 이 인사는 이전 리더인 프란치스코가 사용했던 표현인데, 새 리더가 이 말을 쓴 것은 평화와 겸손을 중요하게 여겼던 이전 리더의 생각을 따르겠다는 뜻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실제로 레오 14세는 새로운 리더가 된 후 여러 번 프란치스코를 언급하며 자신의 개혁 방향이 이전 리더의 현대화 노력과 포용적인 생각의 연장선에 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근대화 개혁 노선을 따르겠다. 교회를 모든 신자에게 열린 포용적 공동체로 만들고, 가장 버림받은 이들에게 다가가는 교회가 되겠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 강조
그는 또한 교회의 중요한 회의였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나온 개혁적인 생각들을 따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교회가 시대에 맞게 변화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자신을 '공의회의 아들'이라고 표현한 것은 이전 리더의 개혁 기조를 적극적으로 이어받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통하는 리더십
가톨릭 뉴스 통신은 그의 동료였던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레오 14세가 "책상 뒤에 앉아 지시만 하는 분이 아니라, 직접 사람들을 만나러 나가는 분"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또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을 직접 실천하는 사람이며, 사람들과의 관계와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전 리더가 추진했던 '시노드'(교회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하고 결정하는 방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교회를 "더 참여적이고 성직자 중심적이지 않게 만드는 일"에 힘써 왔다고 한다. 이는 그의 종교 그룹(아우구스티노회)의 특징이 원래 공동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리더가 수평적인 소통을 지향함을 보여준다는 평가이다. 이런 보도는 레오 14세를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고민하는 리더", 즉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사람이 아닌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리더로 보이게 하려는 의도이다.
보수 성향 매체의 다른 시각
반면 보수적인 성향의 매체들은 새로운 리더의 개혁 의지보다는 이전 리더들과의 스타일 차이에 주목하며 미묘한 다른 점을 찾아내려 했다. 예를 들어 일부 보수 매체는 그가 처음 사람들 앞에 나왔을 때 입었던 옷차림을 두고, 이전 리더인 프란치스코보다 '전통에 가까운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프란치스코는 처음 등장했을 때 전통적인 옷 대신 단순한 흰색 옷을 입어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는데, 레오 14세는 이전의 다른 리더들이 입었던 전통적인 옷을 입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겉모습의 변화를 두고 일부 보수 가톨릭계에서는 새로운 리더가 이전 리더의 급진적인 방향과는 다르게 좀 더 전통적인 길을 갈 것이라는 기대를 표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섣부른 추측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었다. 어떤 평론가는 새로운 리더의 옷차림에 보수 진영이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며, 겉모습보다는 그가 공유하는 종교적 정신 등 본질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옷차림보다는 두 리더가 모두 '성 아우구스티노'를 존경한다는 점이 더 흥미로운 공통점이라고 언급하며, 겉으로 보이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을 경계했다.
종합하면, 가톨릭 언론 전반에서 레오 14세는 역사적으로 새로운 리더이자 겸손하고 친근하며, 개혁과 전통을 잘 이어가는 지도자로 그려지고 있다. 그가 자신의 이름을 '레오'로 선택한 것도 과거의 중요한 리더(레오 13세)를 떠올리며 교회의 사회적 가르침에 토대를 놓은 이전 리더에 대한 존경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언론은 그를 '개혁을 계속 이어가면서도 전통과 연결되는 인물'이라는 틀 안에 위치시키고 있다.
언론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 표현과 기사의 특징
앞서 살펴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가톨릭 매체 기사들에서는 몇 가지 표현과 단어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
* **"첫 ○○ 교황":** "첫 미국인 교황", "첫 아우구스티노회 교황" 등과 같은 수식어가 기사 처음에 자주 사용되었다. 이런 표현은 새로운 리더의 등장이 갖는 특별함을 강조하며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교회 역사의 중요한 순간임을 부각하는 역할을 한다.
* **겸손과 친근함을 나타내는 형용사:** "소탈한", "친절한", "차분한", "균형 잡힌" 등 그의 인품을 설명하는 단어들이 반복해서 사용되었다. 헬스장 트레이너나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인용하여 "화를 내거나 짜증내지 않는 인품"이라고 강조하며, 독자들이 그에게 호감을 느끼고 믿음을 갖게 하려 했다.
* **일상적인 단어 사용:** "헬스장", "테니스", "야구", "피자" 등 일반 사람들이 친숙하게 느낄 만한 단어들이 기사에 자주 나왔다. 예를 들어 그의 출신지인 시카고에서는 "그가 앉았던 야구장 좌석을 기념하고, 그의 이름으로 시카고 피자가 출시되었다"는 등, 마치 유명 연예인처럼 대중문화 속 인물처럼 묘사하는 보도도 있었다. 이는 그에 대한 관심을 특정 종교 신자들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까지 넓히려는 의도로 보인다.
* **성경적/종교적 언어와 비유:** 그의 행동이나 말을 전하면서 "목자", "양 떼", "형제애", "평화"와 같은 종교적인 단어도 자주 사용되었다. 그의 첫 인사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는 성경 구절을 떠올리게 하며, 그의 이름 '레오'를 설명할 때 과거 리더의 사회적 가르침을 언급한 것도 교회의 역사와 가르침이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 **이전 리더 및 중요한 회의 인용:** 그의 말과 글을 전하는 기사에서 프란치스코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노드 정신", "공동체적인 교회", "가난한 이들을 먼저 생각하는 것" 등은 모두 이전 리더나 공의회의 중요한 키워드들로, 새로운 리더가 교회의 일관된 흐름 속에 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요약하면, 가톨릭 언론 보도들은 레오 14세를 역사적으로 전례 없는 새로운 리더이자 겸손하고 친근하며, 개혁과 전통을 조화롭게 잇는 지도자라는 이야기 속 인물로 만들어냈다. 이러한 이미지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이지만, 동시에 매우 전략적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와 교회가 현재 마주한 어려운 문제들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언론에서 만들어낸 이야기와 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 사이의 차이
가톨릭 언론들이 보여준 레오 14세의 모습 대부분은 개인의 매력과 미래에 대한 생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리더에게 주어진 책임은 단순히 좋은 인품과 포부를 보여주는 것 이상이다. 현재 가톨릭 교회가 마주한 구조적인 문제들과 해결해야 할 과제들은 언론 이야기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문제와 언론 이미지 사이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직자의 성범죄와 교회의 투명성 문제
지난 수십 년간 계속되어온 가톨릭 교회 내 성학대 문제는 여전히 매우 심각한 현재 진행형 문제이다. 이전 리더인 프란치스코 시대에 교회 내에서 학대 사실이 숨겨졌던 것이 드러나고 일부 개선 노력이 있었지만, 피해자들은 여전히 교회의 미흡한 대응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교황청과 전 세계 주교들이 과거 학대 사례에 대해 어떻게 책임지고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을 것인지는 레오 14세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하지만 초기 언론 보도에서는 이러한 성학대 문제가 그의 인간적인 이야기들에 밀려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그가 주교였을 때 학대 의혹에 어떻게 대처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나, 리더로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언론은 "친절한 교황님"의 이미지를 전하는 데 집중한 반면, 정작 피해자들의 외침이나 교회의 시스템을 바꾸려는 요구에 대해서는 별 언급이 없었다.
이처럼 언론이 만들어낸 긍정적인 이미지와 교회가 실제로 해결해야 할 무겁고 복잡한 문제들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참고 자료
[1] http://www.chosun.com - 레오 14세, 권위주의 경계하는 '조용한 개혁가'… 5개 국어 유창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9/QANIPUJGTBEFFEB5HBLX6U3ZOU/)
[2] 연합뉴스 - [교황 선출] '개혁 vs 보수' 논쟁 끝 선택은 '중도성향' 레오 14세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9006700081)
[3] 뉴스1 - 교황 레오 14세 인품은…"유머감각 있고 조용히 경청하는 리더" - 뉴스1 (https://www.news1.kr/world/europe/5777164)
[4] 나무위키 - 레오 14세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0%88%EC%98%A4%2014%EC%84%B8)
[5] http://www.industrynews.co.kr - 첫 미국 출신 교황 '레오 14세' 탄생… '전통과 개혁의 균형자'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860)
[6] News BigData & Analysis - 새 교황 즉위명 '레오 14세'에 숨은 뜻은?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9/VWKWNIVDXVEXLFED66XJKKK2PQ/)
[7] News BigData & Analysis - 레오 14세 "편견과 분노 '말의 무장' 해제합시다" (https://news.nate.com/view/20250513n00895)
[8] News BigData & Analysis - '화합과 단결' 레오 14세 공식 즉위…젤렌스키와 회동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56938)
[9] News BigData & Analysis - 레오 14세 “AI로부터 인간의 가치 지킬 것”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12/DJVCMQOOGJDCROEH4CZ4SP67IY/)
[10] News BigData & Analysis - 레오 14세 교황, 첫 부활 삼종기도서 '종전·평화' 촉구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1048551080)
[11] News BigData & Analysis - 사상 첫 미국인 교황 프레보스트… 즉위명 '레오 14세'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9/OLPRJDZMXRA5FDQEE7XRGPWMRY/)
[12] News BigData & Analysis - [속보] 최초의 미국출신 교황 탄생…즉위명 '레오 14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