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가톨릭 교회'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어떨까요?
우리가 가톨릭 신부님들이나 수녀님들을 생각할 때, 많은 분들이 "월급이 200만 원도 안 되는 박봉으로 힘들게 지내신다"고 알고 있습니다. 마치 다른 직업에 비해 돈을 적게 받는 분들처럼 생각하는 거죠. 하지만 이 글은 그런 겉모습 뒤에 숨겨진 진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겉보기엔 적어 보여도, 사실은 넉넉한 '내 주머니 돈
초임 신부님의 현금 월급이 150만 원에서 200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 직장인의 월급과 비교하면 많지 않아 보일 수 있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실제로 생활에 쓸 수 있는 돈'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일반 회사원이 월급 200만 원을 받으면, 여기서 세금도 내야 하고, 매달 살고 있는 집 월세나 대출금도 내야 하고, 하루 세끼 밥값도 직접 벌어서 사 먹어야 하죠. 병원에 가면 병원비도 내야 하고요. 이 모든 걸 다 빼고 나면 실제로 내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걸 '가처분 소득'이라고 합니다)은 생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신부님들은 다릅니다. 교회에서 살 곳(사제관)을 무료로 제공해 주고, 밥도 교회에서 같이 먹습니다. 차를 타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용 일부도 지원받고요. 심지어 아프면 병원비도 교구에서 거의 다 부담해 줍니다. 그러니까 150만 원이든 200만 원이든 받은 현금 월급에서 주거비, 식비, 교통비, 의료비 같은 기본적인 생활비를 거의 쓰지 않아도 되는 거예요.
이건 마치 회사에서 월급 150만 원을 주는데, 회사 기숙사에서 공짜로 살게 해주고, 회사 식당 밥을 무료로 무제한 먹게 해주고, 출퇴근 기름값도 다 대주고, 아프면 병원비도 회사에서 다 내주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월급 150만 원을 거의 그대로 저축하거나 다른 곳에 쓸 수 있겠죠? 신부님들의 상황이 이와 비슷하다는 겁니다. 그래서 겉보기엔 월급이 적어 보여도, 실제 생활에 필요한 돈을 다 지원받기 때문에 일반 직장인보다 훨씬 여유롭게 생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입니다. "배 고파 죽은 신부는 한 명도 없다"는 말처럼, 기본적인 생계 걱정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높은 자리로 갈수록 혜택도 '점점 더 커진다
성직자도 계급이 있습니다. 초임 신부님부터 시작해서 경력이 쌓이면 본당 주임 신부님이 되고, 더 높은 주교님, 대주교님, 그리고 가장 높은 추기경님까지 올라가죠.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분들이 받는 '돈과 혜택'도 계급에 따라 점점 커진다고 합니다.
이 표에서 보듯이, 새 신부님 때도 생활 걱정은 없지만, 높은 자리로 갈수록 '월급' 외에 받는 '현물 지원'이 어마어마해집니다. 추기경님에게는 좋은 집, 좋은 차와 운전기사, 심지어 개인 요리사까지 제공되는 것이 관례였다고 하니, 이건 일반적인 월급쟁이는 상상도 못 할 수준의 특혜죠. 마치 아주 큰 회사의 회장님이나 임원들이 개인 비행기나 최고급 아파트를 회사에서 제공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바티칸에서 일하는 추기경은 매달 700만 원 정도를 받는데 세금도 안 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물 지원'이라는 이름의 고급 복지
교회에서는 이런 지원들을 "성직자들이 성스러운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하며 '검소한 삶'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현금 대신 집, 밥, 차, 심지어 가사 도우미까지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고급 복지'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이건 마치 회사에서 월급은 적게 주는 대신, 회장님에게는 회장님 명의의 최고급 아파트와 최고급 차량, 개인 비서까지 전부 회사 돈으로 지원해주는 것과 비슷합니다. 겉으로는 월급이 적으니 회장님도 검소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누리는 혜택은 엄청나죠. 은퇴 후 주택 자금 지원이나 평생 의료비 전액 지원 같은 혜택은 일반 직장인이 퇴직 후 모든 걸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현실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게다가 신부님들은 결혼해서 부양할 가족이 없고, 신자분들이 주는 식사 대접이나 개인적인 선물까지 받으면 실제 느끼는 경제적인 여유는 더 클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가난해야 할 교회'와 '특권을 누리는 현실' 사이의 차이
가톨릭 교회는 스스로를 낮추고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가난한 교회'가 되자고 가르칩니다. 신자들에게도 겸손하고 청빈하게 살 것을 권하죠. 하지만 현실에서는 일부 고위 성직자들이 사회의 아주 높은 계층만큼이나 많은 혜택과 특권을 누리고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독일의 한 주교가 교회 돈으로 자기 집을 수백억 원 들여 호화롭게 고친 사례는 그 극단적인 예입니다.
한국 가톨릭 교회도 겉으로는 '가난한 성직자' 이미지를 유지하려 하지만, 서울대교구 같은 큰 교구는 수천억 원대의 어마어마한 자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년 신자들이 낸 헌금이나 기부금 수입도 엄청나죠. 그런데 이 막대한 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특히 성직자들의 생활을 위해 얼마나 사용되는지는 일반 신자들에게 거의 공개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회계 장부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으니, '성직자들이 왜 그렇게 풍족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고, 비판적인 목소리도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숨겨진 진실과 투명한 대화의 필요성
결론적으로, 가톨릭 성직자분들의 실제 경제적인 처우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박봉'과는 많이 다르다는 겁니다. 겉으로 보이는 월급은 적지만, 생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교회에서 지원받고, 높은 자리로 갈수록 상상 이상의 혜택을 누리는 '특권 구조'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반면 교회는 '가난과 청빈'을 강조하니, 이 말과 현실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는 거죠.
이런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신자들이 낸 소중한 헌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특권이 있다면 스스로 내려놓으려는 노력도 필요하고요. 교회가 진정으로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는 교회'라는 이미지를 지키고 신뢰를 얻으려면, 겉과 속이 다른 부분을 솔직하게 돌아보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참고 자료
- 주교의 가치는 얼마인가요?
https://www.ncronline.org/news/people/how-much-bishop-worth#:~:text=Management%20and%20Business%20Ethics%20at,Villanova%20University
- 특전 관련 기록
https://m.mariasarang.net//bbs/bbs_view.asp?index=bbs_sermon&no=4593#:~:text=2001년%202월%2021일%20베르골리오%20주교님은,전용차를%20사양하고%20언제나%20대중교통을%20애용했습니다
- 교회 재무 공개 자료
천주교 서울대교구 재무제표 일반에 첫 공개 | KBS 뉴스